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HOME > 뉴스 > 뉴스종합

트위터아이콘 페이스북아이콘


주얼리제조 소공인 자생력 강화 프로그램 집중 편성


판매 촉진 및 가업승계 위한 협업사업 별도 마련 


서울주얼리소공인특화지원센터(센터장 김성복)가 올 한해 진행하는 지원사업을 발표했다. 지원 방향은  큰 틀에서 교육사업과 자율사업 2개 방향으로 접근했다. 

 

교육사업으로는 ▲라이노 캐드 초급 ▲라이노 캐드 고급 ▲New Media 채널 활성화 교육이 진행된다.  

자율사업으로는 ▲소공인 자율마케팅 역량강화 ▲가업승계 소공인 공동판매행사 참가 ▲패션업종 협업 상품개발 및 판매행사 ▲소공인 귀금속 제품 개발 ▲소공인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등으로 구분해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과 자율사업 모두 종로구 집적지 내에 위치한 귀금속관련 10인 미만 제조업체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다.

‘라이노 캐드 초급과 고급과정’은 각각 5월 18일부터 7월 22일까지, 8월 10일부터 10월 21일까지 MJC보석직업전문학교 캐드디자인실에서 진행된다.

 

올해 새롭게 신설된 ‘New Media 채널 활성화 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장 필요한 마케팅 수단인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블로그) 현황 및 특징을 이해하고 각 SNS별 개설 및 운용, 활성화 방안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교육 기간은 4월 22일부터 5월 13일까지(매주 화·목 오후 7시~10시)이며, 비대면 ‘ZOOM’ 형식으로 진행된다.

 

‘소공인 자율마케팅 역량강화 지원사업’은 소공인들이 새로운 판로를 스스로 개척해 경쟁력 강화와 매출 증대를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온라인 판매, 홍보동영상제작, 제품 촬영비, 간판 제작 등에 한해 19개 업체, 업체당 최대 300만원이 지원된다.

 

‘가업승계 소공인 공동판매행사 참가 지원사업’은 가업을 승계한 젊은 소공인들의 협업 의식을 고취하고 이들간의 커뮤니티가 생성되어 집적지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국내에서 진행되는 판매전에 공동 부스로 참여하여 브랜드 홍보 및 제품 판매전을 진행한다. 총 예산규모는 1,430만원(6개 업체 이상)이며 부스비, 내부장치, 홍보비 등이 제공된다.

 

‘패션업종 협업 상품개발 및 판매행사 지원사업’은 패션관련 이업종과 토탈패션이라는 하나의 틀로 공동 판매 등 협업사업을 진행하여 각 업종의 시너지 효과 발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총 2,734만원(상품개발 1,600만원, 공동판매 1,134만원)의 예산으로 시제품 개발비, 공동판매행사 비용이 지원된다.

 

‘소공인 귀금속 제품 개발 지원사업’은 소공인 업체의 특성을 살린 창의적인 디자인과 신기술을 접목하여 트렌드에 맞는 제품 개발로 경쟁력 강화와 다양한 판로지원 사업을 연계하여 실질적인 제품 판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마련됐다. 디자인 개발, CAD모델링 CAD출력, 원본마무리, 주물, 도금, 레이저각인, 레이저 땜 등 20개 업체당 최대 300만원이 지원된다. 

 

‘소공인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비용 지원사업’은 소공인이 개발한 우수제품의 분쟁을 사전 예방하고 소비자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지식재산권 등록을 돕는다. 출원 및 등록비용 대행비가 7개 업체에 한해 각 200만원씩 지원된다.

 

위의 사업과는 별도로 서울주얼리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서울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지역센터 협력 활성화 사업’, ‘가업승계 활성화 지원 사업협업사업’도 마련했다.

 

지역센터 협력 활성화 사업은 전년도에 이미 구축된 소공인 공동브랜드 활성화와 종로 소공인의 새로운 공동플랫폼 구축으로 제품 경쟁력 강화와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자 기획됐다.

클라우드 펀딩, 포털사이트(네이버,다음) 및 SNS 노출 광고, 홈페이지 구축 등을 위해 총 5,100만원의 예산이, 공동브랜드 활성화 지원(소공인 8개 업체(1개 브랜드))과 공동플랫폼 구축 지원(소공인 10개 업체 이상)을 위해 투입된다.

 

가업승계 활성화 지원 사업협업사업은 소공인의 가업승계 지원을 통해 숙련기술을 전수하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얼리 산업의 침체를 타개하여 2세 소공인들이 안정적으로 산업에 적응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원내용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공동판매, 소모임 회의, 컨설팅, 교육, 워크숍 등) ▲자율마케팅 역량강화(온라인판매, 홍보 동영상, 카다로그 제작 등 마케팅 비용) ▲시제품개발(디자인 개발, CAD 작업, 원본마무리, 주물 등 제품 개발비) 3분야이며, 총 예산규모는 4,600만원이다. (네트워크 활성화 15개 업체 이상 / 자율마케팅 역량강화 10개 업체 / 시제품 개발 5개 업체)

올해 새로 부임한 김성복 센터장은 “주얼리제조업의 인력양성, 근로환경 개선 등의 제도적 지원책을 통한 주얼리 제조업체들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주얼리 산업 생산의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세부적인 사업 일정들은 서울주얼리산업협동조합 홈페이지(www.sjic.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 02-766-1599

 

정재우 기자

연관검색어
[작성일 : 2021-04-28 11:46:22]
목록

댓글작성 ㅣ 비방,욕설,광고 등은 사전협의 없이 삭제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비밀번호  
포토뉴스
더보기
월간이슈
더보기